자율주행차의 핵심 센서로 주목받는 라이다 시장이 2025년 급성장하면서 관련 국내 기업들의 투자 가치가 크게 부상하고 있습니다. 차량용 라이다 시장은 2034년까지 9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선도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블로그 정리
- 에스오에스랩이 CES 2025 혁신상 수상으로 기술력 입증
- 라이콤이 테슬라 파트너사에 초소형 라이다 센서 공급 성공
- 삼성전기가 세계 최초 라이다용 MLCC 개발로 부품 시장 선점
- 차량용 라이다 시장은 2025-2029년 연평균 35% 성장 전망
- 국내 기업들의 기술 차별화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에스오에스랩 – 국내 라이다 대장주
에스오에스랩은 코스닥 첫 라이다 전문 상장기업으로, 2025 CES 혁신상을 수상한 ML-U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딥러닝 기반 컬러화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형 라이다로, 거리 정보와 색상 정보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어 기존 라이다 시스템과 차별화됩니다.
구분 | 주요 제품 | 특징 |
---|---|---|
3D 고정형 라이다 | ML-X, ML-A, ML-U | 헤드램프 탑재형, 고해상도 |
2D 라이다 | GL-3, GL-5 | OHT/AGV용, 산업용 |
솔루션 | LPGS | 주차 안내 시스템, 인식률 99% |
현재 현대차, 공항관제 등에 납품하고 있으며, 뷰런과의 협력으로 자율주행 솔루션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김해공항과 여수공항에 주차 안내 시스템이 구축되어 실제 운영 중인 점이 큰 강점입니다.
라이콤 – 테슬라 파트너 라이다 핵심부품 공급사
라이콤은 테슬라 파트너사인 글로벌 L사에 세계 최소형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를 공급하는 유일한 국내 기업입니다. 10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개발한 이 제품은 1550나노 무해파장을 사용하여 자율주행차에 최적화된 사양을 자랑합니다.
매출액의 87%가 해외에서 발생할 정도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6G 통신용 광증폭기 사업도 병행하여 성장 동력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제품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대량 공급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전기 – 라이다용 핵심 부품 선도 기업
삼성전기는 라이다용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라이다 시스템의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신호 전달을 지원하는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 매출 비중 | 주요 제품 |
---|---|---|
컴포넌트솔루션 | 43.33% | MLCC, 칩인덕터 |
광학통신솔루션 | 37.63% | 카메라모듈 |
패키지솔루션 | 19.04% | 반도체패키지기판 |
자동차 전장 부품의 수요 급증으로 라이다용 MLCC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초소형 고용량 재료기술과 핵심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퓨런티어 – 자율주행 카메라 시스템 전문가
퓨런티어는 자동차 전장용 카메라 조립 및 검사장비 전문 기업으로, 라이다 기반 자율주행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솔리드뷰에 전략적 투자를 통해 라이다 부품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삼성전기, 세코닉스, 현대모비스 등 주요 고객사에 Active Align 장비를 납품하며, 2025년부터 고객사의 신규 공장 증설과 함께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자율주행 센싱카메라와 라이다의 융합 기술이 핵심 경쟁력입니다.
큐에스아이 – 반도체 레이저 기술 보유
큐에스아이는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차용 라이다 센서를 개발한 기업으로, 반도체 레이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3년 라이다 활용 거리 측정 시스템 특허를 취득하여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4D FMCW 라이다 상용화를 위한 국책 과제에 참여하며, 고출력 레이저 다이오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로 인한 라이다 부품 공급망 재편에서 수혜가 예상됩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
라이다 관련주 투자 시에는 각 기업의 기술 차별화 수준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중점적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현재 중국이 저가 공세를 벌이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고성능 솔리드스테이트 라이다와 AI 융합 기술로 차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테슬라가 카메라 중심에서 라이다 도입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어, 관련 부품 공급사들의 수주 확대가 기대됩니다. 2025-2026년 완성차 업체들의 레벨3 자율주행 상용화 계획도 긍정적 요인입니다.
라이다 시장은 자율주행차 상용화와 함께 폭발적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입니다. 국내 선도 기업들이 기술 혁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고 있어,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테마로 평가됩니다.
본 글은 특정 종목의 매수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최종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FAQ
라이다 관련주 중 가장 유망한 기업은 어디인가요?
에스오에스랩이 가장 유망합니다. CES 2025 혁신상 수상과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 납품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고정형 라이다 기술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테슬라가 라이다를 도입한다는 것이 확실한가요?
테슬라는 루미나 테크놀로지로부터 라이다 센서를 도입했으며, 라이콤이 테슬라 파트너사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고 있어로보택시 상용화 시 라이다 채택 가능성이 높습니다.
라이다 시장 규모는 얼마나 클까요?
차량용 라이다 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35% 성장하여 34억 4천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며,전체 라이다 시장은 2034년까지 95억 달러로 성장할 예정입니다.
국내 라이다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은 어떤가요?
에스오에스랩의 고정형 라이다와 라이콤의 초소형 펄스드 파이버 레이저는 세계 최고 수준이며,삼성전기의 라이다용 MLCC는 세계 최초 개발 제품으로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라이다 관련주 투자 시기는 언제가 좋을까요?
2025-2026년 완성차 업체들의 레벨3 자율주행 상용화가 예정되어 있어 현재가 투자 적기이며,특히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보한 기업들의 수주 확대가 기대됩니다.